본문 바로가기
알기쉬운 경제상식

캔들 차트 심화 분석 #4: 지속 패턴과 시장 추세 분석

by smilekang 2025. 3. 18.
728x90
반응형

1. 목표

  • 상승 또는 하락 추세가 계속 유지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캔들 지속 패턴을 배우고, 그 형성 조건과 신뢰도를 분석하는 법 익히기.
  • 실전 사례를 통해 추세를 따라가는 매매 전략 또는 추세 이탈 신호를 포착하는 능력 키우기.

2. 주요 내용

  1. 지속 패턴이란?
    •  정의: 기존 상승 또는 하락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암시하는 캔들 조합.
    •  특징: 추세 중간에 나타나며, 매수세(상승) 또는 매도세(하락)가 여전히 강함을 보여줌.
    •  중요성: 추세를 따라 매매하거나, 추세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결정을 돕는 신호.
  2. 주요 지속 패턴 소개
    •  연속 양봉(Consecutive Bullish Candles):
      •  형태: 여러 개의 양봉이 연속으로 나타남. 몸통 크기는 다양하지만 상승 방향 유지.
      •  의미: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시장을 지배하며 상승 추세 강화.
      •  조건: 거래량이 꾸준히 유지되거나 증가하면 신뢰도 높음.
    •  연속 음봉(Consecutive Bearish Candles):
      •  형태: 여러 개의 음봉이 연속으로 형성. 하락 방향 일관성 유지.
      •  의미: 매도세가 계속 우위를 점하며 하락 추세 지속.
      •  조건: 거래량 증가와 함께 저항선 돌파 실패 시 강력.
    •  상승 삼각형 내 캔들(Ascending Triangle Candles):
      •  형태: 점점 높아지는 저점(지지선)과 수평 저항선 사이에서 캔들이 형성. 주로 양봉 중심.
      •  의미: 매수 압력이 점차 강해지며 돌파 후 상승 지속 가능성.
      •  조건: 돌파 시 거래량 급등이 동반되면 신호 확정.
  3. 패턴 분석 포인트
    •  추세 강도: 연속 캔들의 몸통 크기와 그림자 길이로 추세 강도 판단. 몸통이 크고 그림자가 짧을수록 강함.
    •  거래량: 지속 패턴 동안 거래량이 유지되거나 증가하면 추세가 더 이어질 가능성 높음.
    •  지지/저항: 상승 중 지지선에서 반등, 하락 중 저항선에서 반락하면 지속 신호 강화.
    •  허위 돌파 주의: 삼각형 같은 패턴에서 돌파 후 바로 반대 방향으로 꺾이면 실패 가능성(트랩).
  4. 심리적 해석
    •  연속 양봉: 투자자들의 낙관론과 매수 열기가 계속 유지. 상승에 대한 믿음이 시장을 지배.
    •  연속 음봉: 공포와 매도 압력이 지속되며 하락에 대한 확신이 커짐.
    •  상승 삼각형 내 캔들: 매수자들이 저항선을 시험하며 돌파를 준비. 시장은 긴장 상태 속에서 상승 기대감 상승.
  5. 지속 패턴의 한계와 주의점
    •  추세 소진: 연속 캔들이 너무 길어지면 과매수(상승) 또는 과매도(하락)로 전환될 위험.
    •  허위 신호: 거래량 없이 연속 캔들이 나타나면 추세가 약화된 신호일 수 있음.
    •  돌파 실패: 삼각형 패턴에서 돌파 후 반락하면 허위 돌파로 간주하고 빠져나갈 준비 필요.

3. 실전 예시

  •  사례 1: 애플(AAPL) 일봉 차트 (2025년 2월 가정)
    •  상황: $180에서 $190까지 5일 연속 양봉 형성. 각 캔들 몸통 크고 그림자 짧음, 거래량 꾸준히 증가.
    •  분석: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강하며 상승 추세 유지. 5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형성돼 신호 강력.
    •  결과: $200까지 11% 추가 상승.
    •  교훈: 연속 양봉은 거래량과 지지선이 뒷받침되면 추세 지속 가능성 높음.
  •  사례 2: 비트코인(BTC) 1시간 봉 (2025년 3월 가정)
    •  상황: $70,000에서 $68,000까지 6시간 연속 음봉. 몸통 크고 거래량 증가, $70,000 저항선 돌파 실패 후 형성.
    •  분석: 매도세가 시장을 지배하며 하락 추세 지속. 저항선 반락이 신호 강화.
    •  결과: $66,000까지 2.8% 추가 하락.
    •  교훈: 연속 음봉은 저항선과 결합 시 하락 지속 신호로 작용.
  •  사례 3: 삼성전자 일봉 (2025년 1월 가정)
    •  상황: 78,000원에서 상승 삼각형 형성. 저점 점차 높아지고 80,000원 저항선 시험 중 양봉 중심 캔들 반복, 돌파 후 거래량 급 등.
    •  분석: 매수 압력이 저항선을 뚫으려는 의지 강함. 돌파 후 상승 지속 확인.
    •  결과: 83,000원까지 6.4% 상승.
    •  교훈: 상승 삼각형은 돌파와 거래량이 성공 열쇠.

4. 핵심 메시지

  •  지속 패턴은 추세의 힘을 보여주는 신호로, 추세를 따라가거나 끝날 때까지 기다리는 전략에 유용. 하지만 거래량과 지지/저항을 무시하면 함정에 빠질 수 있습니다. 
  •  다음 회차에서는 캔들 패턴의 함정과 실패 사례를 다루며 실수를 줄이는 법을 배울 예정입니다. 

차트공부 그림

 

728x90
반응형